-
320x100
this는 이것을 뜻합니다!
(그러니까 '이게' 뭐죠...... 😵)
자바스크립트 내에서 this는 '누가 나를 불렀느냐'를 뜻한다고 합니다.
즉, 선언이 아닌 호출에 따라 달라진다는 거죠.
그럼 각 상황별로 this가 어디에 바인딩되는지 알아봅시다.
1. 단독으로 쓴 this
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this를 호출하는 경우엔 global object를 가리킵니다.
브라우저에서 호출하는 경우 [object Window]가 되겠죠?
이는 ES5에서 추가된 strict mode(엄격 모드)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.
'use strict'; var x = this; console.log(x); //Window
2. 함수 안에서 쓴 this
함수 안에서 this는 함수의 주인에게 바인딩됩니다.
함수의 주인은? window객체죠!
function myFunction() { return this; } console.log(myFunction()); //Window
var num = 0; function addNum() { this.num = 100; num++; console.log(num); // 101 console.log(window.num); // 101 console.log(num === window.num); // true } addNum();
위 코드에서 this.num의 this는 window 객체를 가리킵니다.
따라서 num은 전역 변수를 가리키게 됩니다.
다만, strict mode(엄격 모드)에서는 조금 다릅니다.
함수 내의 this에 디폴트 바인딩이 없기 때문에 undefined가 됩니다.
"use strict"; function myFunction() { return this; } console.log(myFunction()); //undefined
"use strict"; var num = 0; function addNum() { this.num = 100; //ERROR! Cannot set property 'num' of undefined num++; } addNum();
따라서 this.num을 호출하면 undefined.num을 호출하는 것과 마찬가지기 때문에 에러가 납니다.
3. 메서드 안에서 쓴 this
그럼 일반 함수가 아닌 메서드라면 어떨까요?
메서드 호출 시 메서드 내부 코드에서 사용된 this는 해당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로 바인딩됩니다.
var person = { firstName: 'John', lastName: 'Doe', fullName: function () { return this.firstName + ' ' + this.lastName; }, }; person.fullName(); //"John Doe"
var num = 0; function showNum() { console.log(this.num); } showNum(); //0 var obj = { num: 200, func: showNum, }; obj.func(); //200
4. 이벤트 핸들러 안에서 쓴 this
이벤트 핸들러에서 this는 이벤트를 받는 HTML 요소를 가리킵니다.
var btn = document.querySelector('#btn') btn.addEventListener('click', function () { console.log(this); //#btn });
5. 생성자 안에서 쓴 this
생성자 함수가 생성하는 객체로 this가 바인딩 됩니다.
function Person(name) { this.name = name; } var kim = new Person('kim'); var lee = new Person('lee'); console.log(kim.name); //kim console.log(lee.name); //lee
하지만 new 키워드를 빼먹는 순간 일반 함수 호출과 같아지기 때문에, 이 경우는 this가 window에 바인딩됩니다. (🐄오름)
var name = 'window'; function Person(name) { this.name = name; } var kim = Person('kim'); console.log(window.name); //kim
7. 명시적 바인딩을 한 this
명시적 바인딩은 짝을 지어주는 거에요. 이 this는 내꺼! 같은 거 ;P
apply() 와 call() 메서드는 Function Object에 기본적으로 정의된 메서드인데요, 인자를 this로 만들어주는 기능을 합니다.
function whoisThis() { console.log(this); } whoisThis(); //window var obj = { x: 123, }; whoisThis.call(obj); //{x:123}
apply()에서 매개변수로 받은 첫 번째 값은 함수 내부에서 사용되는 this에 바인딩되고,
두 번째 값인 배열은 자신을 호출한 함수의 인자로 사용합니다.
어떻게 활용하냐면요...
function Character(name, level) { this.name = name; this.level = level; } function Player(name, level, job) { this.name = name; this.level = level; this.job = job; }
이렇게 두 생성자 함수가 있다고 해봅시다. this.name과 this.level을 받아오는 부분이 똑같습니다.
이럴 때 apply()을 쓸 수 있어요.
function Character(name, level) { this.name = name; this.level = level; } function Player(name, level, job) { Character.apply(this, [name, level]); this.job = job; } var me = new Player('Nana', 10, 'Magician');
call()도 apply()와 거의 같습니다.
차이점이 있다면 call()은 인수 목록을 받고 apply()는 인수 배열을 받는다는 차이가 있어요.
위 코드를 call()로 바꿔 쓴다면 이렇게 되겠죠 :)
둘다 일단은 함수를 호출한다는 것에 주의하세요.
function Character(name, level) { this.name = name; this.level = level; } function Player(name, level, job) { Character.call(this, name, level); this.job = job; } var me = {}; Player.call(me, 'nana', 10, 'Magician');
apply()나 call()은 보통 유사배열 객체에게 배열 메서드를 쓰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.
예를 들어 arguments 객체는 함수에 전달된 인수를 Array 형태로 보여주지만 배열 메서드를 쓸 수가 없습니다.
이럴 때 쓱하고 가져다 쓸 수 있어요.
function func(a, b, c) { console.log(arguments); arguments.push('hi!'); //ERROR! (arguments.push is not a function); }
function func(a, b, c) { var args = Array.prototype.slice.apply(arguments); args.push('hi!'); console.dir(args); } func(1, 2, 3); // [ 1, 2, 3, 'hi!' ]
var list = { 0: 'Kim', 1: 'Lee', 2: 'Park', length: 3, }; Array.prototype.push.call(list, 'Choi'); console.log(list);
+
추가로 ES6부터 Array.from()이라는 메서드를 쓸 수 있어요.
유사배열객체를 얕게 복사해 새 Array 객체로 만듭니다.
var children = document.body.children; // HTMLCollection children.forEach(function (el) { el.classList.add('on'); //ERROR! (children.forEach is not a function) });
var children = document.body.children; // HTMLCollection Array.from(children).forEach(function (el) { el.classList.add('on'); });
6. 화살표 함수로 쓴 this
'으아니! 챠! 왜 함수 안에서 this가 전역 객체가 되는 거야!!' 싶을 땐 화살표 함수를 쓰면 됩니다.
화살표 함수는 전역 컨텍스트에서 실행되더라도 this를 새로 정의하지 않고, 바로 바깥 함수나 클래스의 this를 쓰거든요.
var Person = function (name, age) { this.name = name; this.age = age; this.say = function () { console.log(this); // Person {name: "Nana", age: 28} setTimeout(function () { console.log(this); // Window console.log(this.name + ' is ' + this.age + ' years old'); }, 100); }; }; var me = new Person('Nana', 28); me.say(); //global is undefined years old
위 코드를 보면 내부 함수에서 this가 전역 객체를 가리키는 바람에 의도와는 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.
var Person = function (name, age) { this.name = name; this.age = age; this.say = function () { console.log(this); // Person {name: "Nana", age: 28} setTimeout(() => { console.log(this); // Person {name: "Nana", age: 28} console.log(this.name + ' is ' + this.age + ' years old'); }, 100); }; }; var me = new Person('Nana', 28); //Nana is 28 years old
하지만 화살표 함수로 바꾸면 제대로 된 결과가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.
728x90'Blog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JS] ES6의 변수 선언, const와 let (6) 2020.04.29 [Gulp] ReferenceError: primordials is not defined in node 에러 (0) 2020.04.24 [Node.js] 유튜브 클론 01 (1) 2020.02.24 [JS] 스크롤 페이드인 효과 (13) 2019.12.05 [JS] 요소의 요모조모 (1) - 문서 내 요소의 크기와 위치 (0) 2019.12.03 댓글